[펌] 디자인 인력 '여성천하'....78.5%가 전공자
<상의 창조경제 디자인>디자인 인력은 '여성 천하'..78.5%가 전공자
헤럴드경제 입력 2013.08.06 07:52헤럴드경제와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 진행한 '창조경제 시대, 국내 디자인 개발 현황과 과제' 조사에 따르면 설문에 응한 307개 기업의 디자인 담당 직원 10명 중 6명이 여성이다. 과거에 비해 남성 디자이너가 증가하고 있지만, 전통적으로 여성들이 디자인 분야를 선호했기 때문에 전문 인력이 상대적으로 많이 배출된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직무보다 섬세함과 감수성을 특별히 요구하는 업무 특성상 기업에서도 여성을 중심으로 인력을 배치해온 까닭도 있다.
여성 디자이너 비중은 대기업(57.1%)ㆍ중견기업(52.4%)보다 중소기업과, 업종별로는 제조업에서 더 높게 나타났는데 각각 66.7%ㆍ66.1%로 전체 평균(62.6%)을 웃돌았다. 여전히 '디자인=여성의 일'이라는 보수적인 시각이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 더 뿌리 깊은 것으로 분석된다. 바꿔 말해, 남녀 구분없이 뛰어난 디자인 인재를 채용하는 유연함에 있어서 대기업이 앞서 있다는 의미다. 디자인을 중요하게 여기는 시장 분위기에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이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대기업(평균 12.6명)이 중소기업(6.4명)보다 배 가까운 디자인 담당 인원을 확보하고 있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물론 여기에는 디자인 인력을 배치할 수 있는 금전적인 부분, 즉 디자인 예산의 규모도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307개 기업은 평균 7.8명의 디자인 인력을 보유하고 있는데, 중소기업과 서비스업(4.6명)은 이를 한참 밑돌았다.
디자인이 '여성의 일'에 가깝다는 편견뿐만 아니라 관련 전공자만 할 수 있는 일이라는 인식도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응한 전체 기업의 디자인 인력 중 디자인 전공자의 비중은 78.5%였다. 다른 분야의 채용은 '전공 불문'이 된 지 오래지만, 아직도 디자인직종은 이 틀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창의성을 요하는 직무일수록 전공은 상관없다"며 "기술은 익혀야 하지만, 비전공자를 활용하면 더욱 다양한 아이디어가 모일 수 있다"고 조언한다.
필요하다면 비전공자뿐만 아니라 외국인 디자이너를 영입해 새로운 시각과 발상을 받아들이는 것도 디자인 경쟁력을 키우는 일이다. 조사 대상 기업의 디자인 인력 중 외국인의 비중은 아직 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창조활동에 가까운 디자인 업무 분야에는 30대가 가장 많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설문에 응한 307개 기업의 디자인 담당 인원의 75%가 30대였으며, 20대가 16.8%, 40대가 7.1%로 뒤를 이었다.
pdm@heraldcorp.com
- 헤럴드 생생뉴스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베스트 댓글 dmz님
올해 40세 남 디자이너입니다.
28살 졸업해서 지금 13년째 일하고있습니다
연 평균 3200시간 ( 평균근로시간 2000시간)을 근무하고있습니다.
그로인해 얻은 병은 척추관협착증.목디스크. 추간판탈출. 공황장애. 치질. 지방간. 고지혈증. 돌발성난청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4년제 지방국립대를 나와서 이름있는 회사에 다니고 있습니다.
고1때 디자인전공을하게되었고 꿈을 키웠습니다만.
아직 우리나라는 디자인업무를 전문직종으로 쳐주지 않습니다.
만약 어린친구들이 이글을 본다면 국영수를 열심히 해서 다른직업을 선택하라고 조언을 주고
10:37|
가스총님
디자인하는 사람입니다. 20여년 이 바닥에서 하고 있는데, 여기서 불평불만 해 봤자 답 없습니다.
이쪽 관련 업무환경 개선을 원하면 그런 환경을 만들 수 있는 정치인들을 뽑으세요.
그것도 아니면 외국어 공부 좀 더해서 외국으로 나가세요. 전 국내에서 다른 사람들(정치인)에 의해 환경이 바뀌는 건 포기하고
그냥 외국으로 나왔습니다. 이제야 좀 인간답게 살고 있습니다. 10
베스트 댓글 프로브님
다 잭슨폴락 그림의 가격을 받을 수는 없지..문제는 다들 베껴와서 조금씩 고치기..이래서야 발전이 있나? 창조=크리에이티브
이것은 디자인에서 필수다. 비전공자 델꾸와서 감각이야 있겠지만 크리에이티브 훈련은 누가 시키는데? 요즘은 표절도 미리
업계를 다 알아보고 해야하는 세상이다..전문가 같은 소리하고 있네..전문가를 가장한 도적눔들이..ㅉㅉ 09:48
|베스트 댓글 제멋대로여행자님
급여에 대한 이야기는 왜 안나오나? 급여 엄청 적고 야근은 밥 먹듯이하고....한국의 어느 업종이 그렇지 않겠냐만은 디자인
업종 진짜 심하다. 09:40|
베스트 댓글 제멋대로여행자님
급여에 대한 이야기는 왜 안나오나? 급여 엄청 적고 야근은 밥 먹듯이하고....한국의 어느 업종이 그렇지 않겠냐만은 디자인 업종 진짜 심하다. 09:40|
베스트 댓글 귀염둥이님
야근1위 직종이고 it에서 가장 박봉에 속하는 직군이지. 프로그래머들은 남자들이 많아서 디자인보다는 연봉이 낫고 디자인은
여자들이 더 많아서 아무래도 연봉테이블이 낮은이유도 있다. 누가 디자인하겠다고 하면 말리고 싶음. 여자치고 사무직 나부랭
이 해봐야 150도 못받는 현실에 비교하면 여자치고는 나은편이지만 그래도 더 좋은거 찾아보라고 말리고 싶다. 09:36|
베스트 댓글 batman님
문제는!!! 사회 전반적으로 디자인에 대한 가치를 낮게 본다는거다. 디자인의뢰하면 그냥 뚝딱 결과물이 나온다고 생각하는 클라
이언트, 왜이리 비싸냐는 마인드(결코 비싸지 않으며 물가상승에 비하면 거의 10년 전 가격책정이나 다름없는 지경), 디자이너를
무슨 단순 직공처럼 대하는 클라이언트들 수두룩~색상하나, 폰트 하나, 레이아웃 설정하는데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더한다는걸 너무나 모른다는것. 나아지고 있지만 디자인에 대한 가치를 바라보는 시각이 평균수준까지 빨리 오르길 바란다. 그리고 디자인에 남자여자 따지는게 웃긴다. 09:32|
베스트 댓글 염둥이님
창조경제??웃기지말고 국내야근 1위직종인 디자인분야에 대한 근로인권과 처우에대해서 감사를하는게 맞다고 본다.
드라마에선 예쁜사무실에서 우아하게 커피먹으며 예쁜여직원많은 곳에서 일하는걸로 표현하는데..
천만에!!!!
밤샘작업 수두룩하고 수당안주는곳도 엄청나게많다. 저녁밥값주는게무슨 대단한 복지인양 표방하는 회사도많고.
그래픽, 게임원화, 웹, 광고(오프,온라인포함)등등 it업종은 특히 더 열악.
이직률 엄청높고 애인하고 거의 다 깨지고 몸성한데없이 잇몸무너지고 무릎시리고 위장탈나는건 다반사. 갑질이 횡행해서
남양유업 저리가라임. 09:29|
베스트 댓글 염둥이님
디자인업계종사하는 사람인데..
물론 여자가많지만 결정권을 가진 고위직이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대부분 남자다.
요리사, 의상디자이너 수석쉐프 장인들은 전부 남자인것처럼 디자인업계도 결국 최고의 디자인은 남자가함.
여자디자이너들이 섬세한건 사실인데 보편적 디자인은 남자보다났고 맡길만하나 창의적인 디자인면에서는 남자를 못따라가는
경향이있다.
디자인직종은 타고난 감각이있어야해서 디자인공부 10년 했다고 잘하는건 절대아님.
홍대미대 나와서 디자인못하는애들 수두룩하고..
다만 전공분야의공부는 확실히하긴해야하고 끼나 감각은 타고난다고봄 09:19|